『재난 영화의 주인공처럼』(배영진)
이 책은 저자가 역사학, 신학, 상담심리를 전공하고 프란시스 쉐퍼의 라브리 공동체에서 배운 경험과 목회적 연륜을 바탕으로, 인생의 내면 위기(Internal Crisis)에 직면한 현대인들에게 성경적 세계관과 상담 심리를 통해 **출구(Exit)**를 제시하는 영적/심리적 가이드북입니다
서론: 상처의 스토리에서 회복의 스토리로 (First Greeting)
저자의 여정: 저자는 어린 시절 어머니의 상실로 인한 열등감과 우울감 등 '인생의 힘듦'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안고 성장했으며, 평생 '인생살이와 사람의 마음 길'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 40~50대에 상담심리를 전공하며 '마음 길'을 연구한 끝에, "내면을 다듬고 강하게 키우는 것"에서 출구를 발견했습니다 . 핵심 메시지: 모든 사람은 '상처의 스토리'를 가지고 살아가지만
, 하나님을 만나는 결정적인 순간에 '회복의 스토리'가 시작됩니다 . 인생이 재난과 상실의 막다른 골목에 있다 해도, 하나님은 그 벽에 문을 만들어 출구를 열어주십니다 . 이 책은 "인생에는 반드시 출구가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며, 자신도 살고 다른 사람도 살리는 삶(재난 영화의 주인공처럼 사는 인생)으로 독자를 이끌고자 합니다 .
책의 주요 통찰 및 개념
1. 내면의 중요성과 재난 영화의 주인공
내면의 힘: 사람의 내면이 눌려 있거나 구부러져 있으면 그것이 생각과 입장으로 드러나고, 결국 외적인 어려움으로 나타납니다
. 따라서 '두부같이 찌그러지는 내면'을 '바위같이 단단하게' 만들고, '철사같이 구부러진 내면'을 '철봉같이 튼튼하게 펴는' 내면 다듬기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 내면 취약 계층: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가장 버티기 힘들어하는 이들은 사회의 빈곤 계층이 아닌 '내면이 허약한 취약 계층'입니다
. 이들은 평소 내면을 튼튼히 관리하지 않아, 재난의 시기에 정서적/사회적 양분 공급이 끊기면 스스로 양분을 공급하지 못해 정신적으로 결핍된 삶을 살게 됩니다 . 재난 영화의 주인공처럼 살기: 인생은 재난의 연속이지만, 주인공은 멘탈이 붕괴되어 "다 틀렸어, 다 죽는다"라고 외치는 엑스트라와 다릅니다
. 주인공은 두렵더라도 "우리 여기서 다 같이 힘을 합쳐 출구를 찾아보자"고 말하며 , 강인한 신념으로 주변을 격려하고 위로합니다. 이 능력을 저자는 '휴머니티(Humanity)'라고 부릅니다 .
2. 관계의 재난과 위악/위선
최악의 인간형: 우리가 만나기 힘든 '최악의 인간형'은 위선(Hypocrisy)과 위악(Maliciousness) 두 가지를 동시에 보이는 사람입니다
. 위선은 나쁜 일을 감추고 좋은 사람인 척 포장하는 것이고, 위악은 나쁜 생각과 일을 거침없이 자행하는 것입니다 . 피해 의식의 악순환: 이러한 위선과 위악을 저지르는 사람들은 심리학적으로 피해 의식(Victim Consciousness)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 어린 시절 부모의 위악이나 학대를 경험한 상처가, 부모에 대한 반항심이나 보복 심리로 작동하여 위악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거나 , 자신의 악한 행동을 숨기기 위해 위선으로 나타나는 안타까운 삶으로 고착되는 것입니다 . 출구: 복음과 환대: 오늘날 모두가 피해자만을 호소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는 길은 '조건 없이 주어지는 십자가의 복음'입니다
. 상처받은 나를 조건 없이 받아주시는 궁극적 '당신(하나님)'을 만날 때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입니다 . 또한, 어린 시절 냉대나 학대를 받은 사람들은 환대의 공동체에 속하여 따뜻한 대우를 받아볼 때 상처가 회복될 기회를 얻습니다 .
3. 자아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통찰
인생 60을 넘어 깨달은 네 가지: 재난 영화의 주인공처럼 살기 위한 네 가지 인생 철학 중 일부가 제시됩니다
. 휴머니티 견지하기: 재난 영화의 주인공처럼 주변을 격려하고 위로하며 살기입니다. 인생의 길이 막혔을 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찾아가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 과민 증상 파악하기: 삶에 나타나는 과민 증상(Hypersensitivity)은 사고 발생 전 이상 신호를 감지하는 현상과 같습니다
. 이는 심리학적으로 '전이(Transference)'라 불리며, 과거의 사건에 붙어있던 감정이 현재 유사한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격해져 튀어나오는 것입니다 . 자신의 과민 증상을 파악하는 것이 내면 관리의 첫걸음입니다 .
상실과 고통의 결과: 인생은 상실을 경험하는 것이지만, 이 상실의 고난을 겪은 후 사람은 고통에 파묻혀 일어나지 못하거나 아니면 범사에 감사하며 내면이 단단해지는 둘 중 하나의 상태로 갈립니다
. 성경적 신앙은 고난을 겪으며 믿음이 단단해지는 것을 말하지만 , 상실의 고난을 소화하지 못하고 '마음이 체한 상태'가 되면 하나님을 원망하고 병(우울증, 공황장애)이 찾아올 수 있으므로, 반드시 도움을 주는 누군가를 찾아야 합니다 . 건강한 독립을 위한 애착과 부재 경험: 아이가 건강하고 독립적으로 성장하려면 어린 시절에 부모의 충분한 애착 경험과 더불어*적절한 부재 경험(Absence Experience)이 조화롭게 엮여야 합니다
. 부모가 모든 것을 다 해줘서 '혼자 해볼 기회'가 없으면 성인이 되어서도 의존적인 '성인 아이(Adult Child)'가 되어 독립적인 존재로 서지 못하게 됩니다 . 부모가 적절히 물러나 있어주면 아이는 '내면에 '혼자 하는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
결론
이 책은 '관계'와 '자아의 공허함'이라는 내면의 위기 앞에 복음의 치유와 회복력을 제시하며
✍️ 서평: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재난 영화의 주인공처럼》은 복잡한 심리학 이론서나 무거운 신앙 서적이 아닙니다. 이 책은 "건강한 정신과 건강한 신앙을 연결"
1. 복음과 심리학의 따뜻한 만남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신학과 상담심리학을 모두 전공한 저자
2. '마음 길'을 찾는 친절한 안내서
저자가 직접 만든 '마음 길'
3. 상처 입은 치유자의 진솔한 고백
이 책은 이론가가 아닌, 먼저 아파 본 '상처 입은 치유자'의 목소리를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어린 시절의 상실감과 우울감
👍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내면의 공허함과 '내면 위기'를 겪는 분
가족, 부부, 공동체 안에서 반복되는 '관계'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분
신앙생활을 하지만 삶의 실제적인 고통이 해결되지 않아 괴로운 그리스도인
'자기 돌봄'과 '자존감 회복'
의 구체적인 방법을 찾고 싶은 분 교회 소그룹이나 부부 모임에서 함께 읽고 나눌 진솔한 신앙 서적을 찾는 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