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Code

Responsive Advertisement

Ticker

6/recent/ticker-posts

『정신 의학의 눈으로 본 성경의 인물들』(유덕진) 리뷰/요약


 

『정신 의학의 눈으로 본 성경의 인물들』(유덕진)


이 책은 유덕진 저자가 성경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현대 정신의학의 진단 기준(DSM-5)을 통해 분석한 '성경인물 정신 건강 탐구 보고서'입니다.

저자 유덕진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2024년까지 미국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위기 개입 상담 전문가로 활동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그녀는 환자들의 정신과적 증상 이면에 더 깊은 문제의 원인(때로는 영적인 문제)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 책은 저자가 성경을 읽다가 '직업병'이 발동하여, 성경 인물들을 DSM-5 기준으로 진단해 본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저자는 정신 질환의 원인을 무조건 영적인 문제로만 접근하는 것을 경계하며, 하나님께서 각 인물을 치유하신 다양한 방식을 살펴봅니다.

이 책은 12명의 성경 인물(혹은 그룹)을 분석하며, 각 인물의 진단명과 저자의 상담 사례를 함께 제시합니다.


✝️ 인물별 정신의학적 분석 및 교훈

01. 가인(Cain): 경계성 성격 장애 (BPD)

  • 진단 근거: 가인은 하나님이 아벨의 제사만 받으시자 극단적인 분노와 감정 변화를 보이며 , 충동적으로 아벨을 살해했습니다. 이는 감정적 불안정성, 충동적 행동, 불안정한 대인 관계 등 경계성 성격 장애의 특징을 보입니다.

  • 핵심 문제: 가인의 가장 큰 문제는 문제의 원인을 자신이 아닌 아벨에게서 찾은 '심한 사고의 왜곡'입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BPD 환자의 특성으로 '흑백 논리'와 편협한 사고를 듭니다. 저자는 의료 시스템을 악용하던 BPD 환자 사례를 들며, 이 환자가 자신을 입원시켜주지 않은 문제의 근원을 저자에게 돌렸던 것처럼, 가인도 아벨을 탓했다고 분석합니다.

02. 노아(Noah): 기능적 알코올 의존증 (Functional AUD)

  • 진단 근거: 노아는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장막 안에서 벌거벗었습니다(창 9:20-21). 이는 음주로 인한 '통제력 상실'을 보여줍니다. 저자는 노아를 일상적 역할은 수행하지만 알코올 의존증이 있는 '기능적 알코올 의존자'로 진단합니다.

  • 가족의 반응: 함은 아버지를 조롱했으나, 셈과 야벳은 아버지의 수치를 덮어주며 존중과 지지를 보였습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중독 회복의 핵심은 '가족의 사랑과 힘'이라고 강조합니다. 저자는 음주운전으로 아이를 빼앗겼음에도 "아이가 보고 싶어" 술을 마셨다는 환자 사례를 통해 중독자의 왜곡된 판단력을 설명합니다. 또한 마약 중독자의 사례를 들며, 중독은 가족 관계까지 파괴한다고 말합니다.

03. 삼손(Samson): 충동 조절 장애, 반사회적 성격 장애, 나르시시스트적 성격 장애

  • 진단 근거: 삼손은 욕망과 분노를 느낄 때 즉각적으로 행동하고(ICD), 타인의 권리와 규범을 무시하며(APD), 자신에 대한 과장된 자부심을 보였습니다(NPD).

  • 증상:

    • ICD: 부모의 조언을 무시하고 충동적으로 결혼을 결정했습니다.

    • APD: 분노를 참지 못하고 사람을 죽이고(삿 14:19), 나귀 턱뼈로 천 명을 죽이는 등 폭력으로 갈등을 해결했습니다.

    • NPD: 자신의 힘을 자랑하며, 여성을 목적 달성을 위한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많은 환자들의 가장 큰 문제가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죄로 인한 쾌락보다 죄로 인한 고통과 수치심이 더 커질 때 치유의 희망이 있다고 말합니다.

04. 사울(Saul): 조현병, 편집성 인격 장애, 양극성 장애

  • 진단 근거: 사울은 겸손했던 초기와 달리, 하나님께 불순종하고(삼상 13:8-14) 악한 영에 시달리며 정신적 불안정성을 보였습니다(삼상 16:14).

  • 증상:

    • 조현병(Schizophrenia): 다윗이 자신을 위협한다는 '망상' , '정신없이 떠들어대며' 창을 던지는(삼상 18:10-11) '현실과의 단절'을 보였습니다.

    • 편집성 인격 장애(PPD): "사울은 천천, 다윗은 만만"이라는 노래에 불쾌해하며(삼상 18:7-9) 다윗을 향한 과도한 불신과 의심, 질투를 보였습니다.

    •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갑작스러운 분노(조증 상태)로 다윗을 죽이려 하다가도, 다윗이 자신을 살려주자 눈물을 흘리며 반성하는(삼상 24:5-7) 등 극단적인 감정 기복을 보였습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사울을 '이중 진단(Dual Diagnosis)' 환자로 분류하며, 사울의 정신 질환이 다윗의 정신 건강(우울증)에도 심각한 위해를 주었다고 분석합니다.

05. 다윗(David): 우울증 및 불안 장애

  • 진단 근거: 다윗은 사울의 질투와 살해 위협, 밧세바와의 불륜 사건 등으로 인한 내적 고통을 시편에 표현했습니다.

  • 증상:

    • 우울증: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시 6:6) (수면 장애), "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심하며"(시 42:5) (절망감) 등의 표현을 썼습니다.

    • 불안 장애: "두려움과 떨림이 내게 이르고 공포가 나를 덮었도다"(시 55:4-5) (공포), "내 죄악이 내 머리에 넘쳐서... 내가 감당할 수 없나이다"(시 38:4) (죄책감과 연관된 불안)

  • 교훈 및 사례: 다윗은 시편을 통해 고통을 표현하고 '찬양(음악)'을 통해 치유를 경험했습니다. 저자는 찬양이 강력한 치유의 도구라며 24시간 찬양을 틀어놓을 것을 권합니다. 저자는 자신이 상담한 수천 명의 미성년 환자 중, 이혼하지 않은 친부모 가정에서 온 환자는 단 두 명뿐이었다고 밝히며, 가정의 안정성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06. 솔로몬(Solomon): 애착 관계 결핍으로 인한 성 중독

  • 진단 근거: 솔로몬은 불륜으로 태어났고(다윗과 밧세바) , 불안정한 가정 환경(압살롬의 반란 등)에서 자라 안정된 애착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증상: 그는 700명의 후궁과 300명의 첩을 두었는데 , 이는 정치적 동맹을 넘어선 '과도한 성적 탐닉'입니다. 그는 정서적 결핍과 외로움을 성적 관계를 통해 해결하려 했습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애착 결핍이 성(性)을 통해 일시적인 친밀감을 얻으려는 '성 중독'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솔로몬은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전 1:2) 라며 공허함을 직면한 후,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의 명령들을 지킬지어다"(전 12:13) 라며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치유를 찾았습니다.

07. 엘리야(Elijah): 주요 우울 장애(MDD) 및 번아웃 증후군

  • 진단 근거: 갈멜산에서의 큰 영적 승리 후, 이세벨의 위협을 받고 도망쳐 로뎀 나무 아래에서 "지금 내 생명을 거두시옵소서"(왕상 19:4)라며 죽기를 간구했습니다.

  • 증상: 이는 극심한 '스트레스' , '신체적·정신적 탈진(번아웃)' , 그리고 "오직 나만 남았거늘"(왕상 19:10) 이라고 느끼는 '영적 고립과 외로움' 에서 비롯된 우울증입니다.

  • 교훈 및 사례: 하나님의 치유는 '전인적'이었습니다. 하나님은 그에게 금식 기도가 아닌, 천사를 통해 '쉼'을 주셨고(수면), '음식'(떡과 물)을 제공하여 육체를 먼저 회복시키셨습니다.

  • 핵심: 저자는 모든 정신 질환의 원인이 영적인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며 , 엘리야의 경우는 '신체적 피로와 탈진, 영양 부족'이 주원인이었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간 질환, 요로 감염(노인), 갑상선 질환, 비타민 결핍 등 정신 질환으로 오진될 수 있는 신체 질환들을 열거합니다.

08.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임상적 조현병, 라이칸스로피(Lycanthropy)

  • 진단 근거: 자신의 제국을 보며 교만에 빠진(단 4:30) 느부갓네살 왕은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한 후 , 정신적 붕괴를 겪었습니다.

  • 증상: 그는 "사람에게 쫓겨나서 소처럼 풀을 먹으며"(단 4:33) , 자신이 짐승이라고 믿는 희귀한 조현병적 망상인 '라이칸스로피(동물 망상)' 증세를 보였습니다.

  • 교훈 및 사례: 그의 치유는 "기한이 차매... 내 총명이 다시 내게로 돌아온지라"(단 4:34) 에서 보듯,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한 후에 '완치'되었습니다.

  • 저자의 '똥 기저귀' 비유: 저자는 현대 정신과 치료의 한계를 '똥 기저귀'에 비유합니다. 증상(불쾌감)은 '똥 기저귀'이고, 정신과 약물은 '향수'에 불과합니다. 향수(약물)는 냄새를 잠시 가릴 뿐, 근본 원인인 '똥'(저자는 종종 '죄'에 비유 )을 치우지 않으면(회개, 거듭남) 진정한 치유가 어렵다고 말합니다. 단, 저자는 약물 치료 자체를 부정하지 않으며,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09. 욥(Job): 주요 우울 장애(MDD)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진단 근거: 욥은 자녀와 재산의 갑작스러운 상실, 극심한 신체적 고통(종기), 친구들의 비난 등 극심한 트라우마를 겪었습니다.

  • 증상:

    • MDD: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고(욥 3:3) "생명을 싫어하고... 죽는 것을 택하리이다"(욥 7:15-16) 라며 깊은 절망과 죽음에 대한 소망을 보였습니다.

    • PTSD: "주께서 꿈으로 나를 놀라게 하시고"(욥 7:14) (악몽, 재경험) , "불안만 있구나"(욥 3:26) (불안, 과도한 경계심) , "내 친척은 나를 버렸으며"(욥 19:13-14) (사회적 고립, 회피) 등의 증상을 보였습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욥의 고난이 '죄의 결과'(신 28장)가 아니라, '하나님이 허락하신 시험과 연단'이었음을 강조합니다. 저자는 선교 중 폐동맥 고혈압이라는 희귀 난치병을 얻었던 자신의 '욥과 같은 고난'을 간증하며, 욥과 같이 온전한 회복(금융 치료 포함)을 경험했다고 나눕니다.

10. 요나(Jonah): 우울증, 회피성 인격 장애, 불안 장애

  • 진단 근거: 요나는 니느웨로 가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그 명령을 피하기 위해 다시스로 도망쳤습니다(욘 1:3).

  • 증상:

    • 회피성 장애: 하나님의 명령을 고의로 회피하고 도망쳤습니다.

    • 우울증: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내게 나음이니이다"(욘 4:3)라며 자살 충동을 보였습니다.

    • 불안 장애: 니느웨가 회개할 것을 두려워하고, 하나님이 자비를 베푸실까 봐(자신의 예언이 틀릴까 봐) 불안해하고 성을 냈습니다(욘 4:1-2).

  • '요나 신드롬(Jonah Syndrome)': 저자는 이를 '주어진 임무나 책임을 회피하려는 심리적 경향'으로 정의합니다. 이는 종종 '실패에 대한 두려움' 뿐만 아니라 '성공에 대한 두려움'(성공이 가져올 책임감에 대한 부담) 때문에 발생한다고 분석합니다.

11. 군대 귀신 들린 사람: 다중 인격 장애 (DID)

  • 진단 근거: 거라사의 광인은 무덤 사이에 거처하며 쇠사슬을 끊고, 돌로 자기 몸을 해치고 있었습니다(막 5:2-5).

  • 증상: 예수님이 이름을 묻자 "내 이름은 군대(Legion)니 우리가 많음이니이다"(막 5:9) 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정체성의 분리(해리)'를 보여줍니다. 또한 '자해' 와 '충동성' 등 DID의 특징과 유사합니다.

  • 교훈 및 사례: 예수님의 치유는 '전인적'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그의 '정체성을 회복'시키고(이름을 물으심), 영적 '해방'을 주셨습니다. 그 결과 그는 "옷을 입고 정신이 온전하여" 앉았습니다(막 5:15). 예수님은 그를 공동체로 돌려보내 복음을 전하게 하셨는데(막 5:19), 저자는 이것이 병리적인 환경으로의 복귀로 인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위대한 치료(Therapy) 전략이었다고 분석합니다.

12. 돌아온 탕자(Prodigal Son): 품행 장애 (Conduct Disorder)

  • 진단 근거: 품행 장애는 타인의 권리나 사회적 규범을 반복적으로 침해하는 아동/청소년기 장애입니다. 탕자의 행동이 이와 유사합니다.

  • 증상:

    • 심각한 규칙 위반: 아버지의 권위를 무시하고 유산을 미리 요구했습니다(눅 15:12).

    • 충동성/무책임: 재물을 모아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했습니다(눅 15:13).

    • 위험한 생활: 돼지우리에 거하며 생존을 위협받았습니다.

  • 교훈 및 사례: 저자는 탕자가 품행 장애의 기준에 부합하며, 회개하지 않았다면 성인이 되어 '반사회적 성격 장애(ASPD)'로 발전했을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그는 돼지우리에서 '자각'을 경험하고, "아버지께 죄를 지었다"며 스스로 잘못을 인정했습니다(회개). 아버지의 '사랑과 용서'가 그를 회복시켰습니다.


💡 결론 및 제언

저자는 정신 질환은 다양한 원인을 가지므로, 신체 문제, 죄의 문제, 환경 문제, 영적 문제를 구분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합니다.

그녀는 '균형 있는 삶' 과 '하나님과 정렬된 삶' 을 정신 건강의 핵심으로 꼽습니다.

또한, 많은 환자들이 겪는 환청("나는 실패자야", "나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해" 등)은 하나님 아버지의 말과 정반대되는 '악한 영들의 거짓말'이라고 말합니다. 저자는 이 '거짓'을 '진실'로 바꾸어 주는 작업이 필요하며, "나는 사랑스럽다", "나는 존재만으로 귀하다"와 같은 '자기 긍정(self-affirmation)'을 매일 읽는 것이 효과적인 치유 방법이라고 제안합니다.

이 책은 정신 건강의 문제를 겪는 이들과 상담가, 목회자들에게 통찰력을 제공하고, 하나님 안에서의 온전한 치유와 회복이 가능함을 전하고자 합니다.


✍️ 서평

"성경 인물의 상처를 통해 '치유하시는 하나님'을 만나다"

유덕진 저자의 『정신의학의 눈으로 본 성경의 인물들』은 성경 읽기에 신선하고도 실용적인 충격을 선사하는 책입니다. '가인은 경계성 성격 장애', '엘리야는 번아웃 증후군'과 같이 성경 속 인물들을 DSM-5 진단 기준으로 분석하는 접근 방식은, 자칫 신성모독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책을 읽다 보면 이는 오히려 성경 인물들을 박제된 영웅이 아닌, 우리와 동일하게 고뇌하고 상처 입었던 한 인간으로 다시 보게 합니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저자의 임상적 전문성영적 통찰력의 균형입니다. 저자는 미국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위기 개입 상담 전문가로 일하며 수많은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을 만난 경험을 '상담 사례' 섹션에 녹여냅니다. 이 실제 사례들은 성경 속 인물들의 고통이 21세기에도 동일하게 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강력한 설득력을 갖습니다.

또한 이 책은 '진단'에서 멈추지 않고 '치유'로 나아갑니다. 사울 왕처럼 하나님과의 관계 단절이 정신적 붕괴로 이어진 사례(조현병)와 다윗처럼 극심한 스트레스(우울증, 불안 장애)를 찬양으로 극복한 사례, 엘리야처럼 영적 전투 후 탈진(번아웃)했을 때 하나님의 돌봄(쉼과 음식)으로 회복된 사례 등을 통해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식을 균형 있게 제시합니다.

특히 저자가 '영-혼-육'의 전인적 치유를 강조하는 부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정신 질환의 원인을 무조건 '영적 문제'나 '죄'로 치부하는 기독교 내의 편협한 시각을 경계하는 동시에, 반대로 모든 것을 심리적 문제로만 환원하는 세속적 관점에도 갇히지 않습니다.

『정신의학의 눈으로 본 성경의 인물들』은 정신적 어려움으로 고통받는 성도들과 그 가족, 그리고 그들을 돕고자 하는 목회자 및 상담가들에게 성경적이면서도 실제적인 통찰을 제공하는 귀한 안내서입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성경 인물들의 연약함 속에서 일하신 '치유하시는 하나님'을 더욱 깊이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