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경의 딥마인드: 요약
이 책은 "열심히 살아봤지만 허무함에 지친 당신"을 위한 김미경 저자의 깊은 성찰과 구체적인 해결책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의 핵심은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잇마인드'의 정체를 깨닫고, 우리를 진정으로 행복하게 할 '딥마인드'를 삶의 메인 엔진으로 교체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습니다
1. 잇마인드 (It-mind): 당신을 지치게 한 엔진
'잇마인드'는 우리가 세상에서 생존하고 성공하기 위해 장착한 엔진입니다
정의: '그것(It)'—즉 돈, 집, 경력, 명예, 인맥 등—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마음입니다
. 연료: 결핍과 열등감을 연료로 삼아 작동합니다
. 알고리즘: "더 많이, 더 높이"를 외치며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게 만듭니다
. 문제점: 잇마인드는 '나의 행복'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 오직 성취만을 위해 우리를 목표의 노예로 만들고, 성과를 내지 못하면 "넌 쓸모없어", "죽어도 되지 않느냐"며 스스로를 비난하고 조롱하게 만듭니다 . 이것이 우리가 열심히 살수록 공허하고 불행해지는 이유입니다 .
2. 딥마인드 (Deep-mind): 당신을 살리는 진짜 엔진
저자는 잇마인드가 주는 절망의 밑바닥에서 '나를 살리는 말'을 쓰기 시작하며 '딥마인드'를 발견합니다
정의: 딥마인드는 세상이 이식한 엔진이 아닌, 태어날 때부터 '나'라는 인간이 가진 모든 데이터(경험, 감각, 감정, 무의식)와 연동된 '초개인화 엔진'입니다
. 목적: 딥마인드에게 '나'는 성취를 위한 수단이 아닌 '목적' 그 자체입니다
. 딥마인드의 유일한 목적은 "내가 행복하게 사는 것"입니다 . 기능: 딥마인드는 나를 조건 없이 사랑하며, 혼란 속에서 진짜 문제를 보게 하는 '통찰'과 '지혜', 상처를 회복시키는 강력한 '치유'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
3. 딥마인드 실행법: bod루틴과 bod하우스
딥마인드를 깨우고 삶의 메인 엔진으로 삼는 구체적인 방법이 바로 'bod루틴'입니다. 이는 딥마인드의 자동 진화 프로세스입니다
1) B (Being - 성찰): '감칭반'으로 대화하기
'비잉(Being)'은 딥마인드와 대화하는 단계로, '비잉 노트'에 '나를 살리는 말'을 쓰는 것입니다
감사: 단순히 좋은 일을 찾는 것을 넘어, 안 좋은 일까지 감사로 '뒤집어 보는' 연습을 통해 통찰력을 얻습니다
. 칭찬: 남의 기준이 아닌, '나만 아는' 나의 작은 변화와 시도를 구체적으로 칭찬하며 자존감을 회복하고 실행력을 높입니다
. 반성: 남 탓, 상황 탓을 멈추고 문제를 '내가 해결할 나의 문제'로 가져와 인생의 주도권을 되찾는 연습입니다
.
2) O (Organizing - 기획): 'bod하우스'로 인생의 집 짓기
'오거나이징(Organizing)'은 'Being' 단계에서 나온 결심과 미션을 현실의 스케줄로 치밀하게 기획하는 것입니다
bod하우스: 내 인생 전체를 조율하는 '인생의 집'을 한 장의 그림으로 설계하는 것입니다
. 구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라이프 섹션 1개를 '지붕'으로 올리고, 그 외 건강, 가족, 일, 재정 등 4개의 핵심 섹션을 '기둥'으로 세웁니다
. 목적: 이 '집'을 통해 잇마인드가 추구하는 '외적 성공'과 딥마인드가 추구하는 '내적 성취' 사이의 밸런스를 잡아, '성공한 실패자'가 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
3) D (Doing - 실행): 실행하고 피드백하기
'두잉(Doing)'은 플래너에 기획한 대로 하루를 충실히 살아내는 것입니다
4. 결론: '열심히 막 사는' 삶에서 벗어나기
저자는 우리가 그동안 '열심히' 살았지만, 사실 외부 자극(비교, 질투, 불안)에 즉각 반응하며 '막 살았다'고 진단합니다
🖋️ '김미경의 딥마인드' 서평
'김미경의 딥마인드'는 단순한 자기계발서를 넘어, 시대적 현상인 '번아웃'에 대한 근본적인 진단과 매우 체계적인 해결책을 담은 '심리 매뉴얼'에 가깝습니다.
1. '열심히'의 프레임을 바꾸다
우리는 '열심히 살면' 모든 것이 해결될 거라 믿었지만
2. 추상적인 위로가 아닌, 구체적인 '도구'를 주다
"너 자신을 사랑하라"는 말은 공허하게 들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딥마인드 토크(감칭반)'
3. '나'를 찾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론
잇마인드(사회적 자아)와 딥마인드(본연의 자아)라는 두 엔진의 비유는 매우 강력합니다. 이는 우리가 왜 내면의 목소리와 외부의 기대 사이에서 혼란스러웠는지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딥마인드 토크를 통해 '나의 말'과 '잇마인드의 말'을 구분하는 연습
4.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최선을 다해 살았는데도 번아웃과 공허함, 우울감을 느끼는 분
SNS 등 타인과의 비교(비교 지옥)에 지쳐 자존감이 낮아진 분
'잇마인드'가 시키는 목표가 아닌 '딥마인드'가 원하는 진짜 내 삶을 살고 싶은 분
추상적인 위로가 아닌, 매일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삶의 루틴이 필요한 분
결국 이 책은 잇마인드의 노예가 아닌, 내 인생의 주인으로 살아가라고 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