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발견한 창조주』(박환석)
이 책은 박환석 저자가 수학의 신비로운 현상들을 통해 창조주의 존재를 탐구하고 증명하려는 목적으로 저술되었습니다
이 책의 핵심 주장은 인간의 순수수학(정신적 산물)과 우주 만물의 수학(물리적 실체)이 일치하는 신비가
📜 프롤로그: 우주에 존재하는 질서와 규칙의 근원
저자는 우주에 존재하는 질서와 규칙이 설계자(창조주)가 있음을 증명한다고 말합니다
1장: 아인슈타인의 고민
이 장은 책의 중심 질문인 '수학의 신비'를 아인슈타인의 고민을 통해 소개합니다
아인슈타인의 고민:
인간이 우주를 이해한다는 것 자체가 가장 큰 미스터리이다
. 수학은 경험과 무관한 인간 사고의 산물인데, 어떻게 물리적 실체에 정확히 들어맞는가?
수학의 비합리적 효용성: 유진 위그너가 명명한 이 현상은
, 논리적 추상 세계인 수학이 물리적 실제 세계와 불가사의할 정도로 유용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사례:
뉴턴의 만유인력: 당시의 부정확한 관측(4% 수준)과 달리, 뉴턴의 수학적 방정식은 현재 99.999% 이상의 정확성을 보입니다
. 맥스웰의 전자기파: 맥스웰은 실험이 아닌, 방정식의 '수학적 대칭성'을 맞추려는 순수한 수학적 발상에서 전자기파를 예측했습니다
. 디랙의 양전자: 디랙은 자신의 방정식이 '아름답다'는 이유만으로, 당시에는 이해할 수 없었던 '음의 에너지 상태'를 신뢰했고, 이는 훗날 양전자의 발견으로 증명되었습니다
.
2장: 왜 순수수학과 자연 속 수학의 일치가 일어나는 것일까?
이 장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구상된 '순수이론수학'이 나중에 실제 자연 현상 속에서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이 발견된 수많은 사례를 제시합니다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가 토끼 번식 문제라는 순수한 수학적 상상으로 고안한 수열(1, 1, 2, 3, 5, 8...)이지만
, 자연계의 꽃잎 수(3, 5, 8, 13장) , 해바라기 씨앗의 나선 수 , 수벌의 가계도 등에서 발견됩니다 . 황금비 (Φ ≈ 1.618): 유클리드 시대부터 알려진 순수 기하학적 비율이지만
, 인체의 비율 , 식물의 잎차례(황금각 137.5°) , DNA 나선의 주기(가로 34Å, 세로 21Å) 등에서 나타납니다. 황금나선 (로그나선): 데카르트가 정의한 순수수학적 곡선(r=ke)이지만
, 앵무조개 껍데기 나 매가 먹이를 쫓는 비행 경로 에서 발견됩니다. 프랙탈: 만델브로가 컴퓨터로 시각화한 순수수학적 개념(자기유사성)이지만
, 꽃상추나 브로콜리 , 나무의 가지 , 뇌의 주름 , 허파 구조 등 자연계의 기본 구조에서 나타납니다. 로그 (log): 존 네이피어가 순전히 '큰 수의 계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곱셈을 덧셈으로) 개발한 수학 도구이지만
, 인간의 감각 시스템(베버-페흐너의 법칙, R=klogS) , 즉 청각(데시벨) 과 시각(별의 등급) 이 로그 체계로 작동함이 밝혀졌습니다. 허수 (i): 카르다노, 데카르트 등 여러 수학자가 '상상의 수', '쓸모없는 수'로 여겼던 순수수학적 개념이었지만
, 현대에 와서 양자역학(슈뢰딩거 방정식)의 미시 세계를 설명하는 데 필수적인 '물리적 실체'의 언어임이 드러났습니다 . 리만 기하학: 리만이 고안한 비유클리드 순수수학(휘어진 공간의 기하학)이었으나
, 훗날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실제 우주 공간이 중력에 의해 휘어져 있음을 설명하는 유일한 수학적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 기타: 이 외에도 매듭이론(순수수학)과 DNA 매듭 풀기(효소)의 일치
, 2차 곡선(순수수학)과 물체 및 행성의 운동(물리)의 일치 , 미적분(순수수학)과 속도/가속도(물리)의 일치 등이 언급됩니다.
3장: 수학의 신비에 대한 창조론적 이해
이 장은 1, 2장에서 제기된 '수학의 신비'에 대한 창조론적 해답을 제시합니다
일치의 이유: 인간의 수학적 지성과 우주 만물의 물리적 실제가 일치하는 이유는, 이 둘 모두 '창조주의 수학적 지성'이라는 공통의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우주: 창조주는 우주 만물을 창조할 때 자신의 '수학'을 설계 언어로 사용하셨습니다
. 인간: 창조주는 인간을 '자신의 형상'(창 1:26)대로 만드시면서, 그 수학적 지성의 일부분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
결론: 따라서 인간이 순수수학을 연구하는 것은 자신의 내면에 공유된 창조주의 수학적 지성을 탐구하는 행위이며, 자연을 연구하는 것은 창조주가 만물에 넣어둔 그 수학을 발견하는 행위입니다
. 이 둘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기에 일치할 수밖에 없습니다 . 수학은 '발견'이다: 이 관점에서 수학은 인간이 만들어내는 '발명'이 아니라
, 이미 창조주의 지성 속에 '수학적 실재'로 존재하는 것을 찾아내는 '발견'입니다 . 수학이 발명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는 진화론적/무신론적 세계관에 기반한 것이라고 비판합니다 .
4장: 수학을 통해 바라본 우주 만물의 기원
이 장은 수학의 속성을 통해 우주 만물의 기원이 초월적 지성을 가진 창조주임을 논증합니다
수학과 정보의 공통점: 수학은 정보와 마찬가지로 (1)비물질적 실체이며, (2)'의도'를 내포하고, (3)반드시 '지성적 존재'가 부여해야만 하는 속성을 가집니다
. 창조주의 의도: 인간이 신용카드나 피라미드에 황금비라는 수학을 '의도'(안정감, 아름다움)를 가지고 넣는 것처럼
, 창조주도 우주 만물에 수학을 넣으셨습니다 . 그 의도는 창세기 1장에 반복되는 "보시기에 좋았더라" 즉, 아름다움, 안정성, 효율성, 질서를 부여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무신론적 우주 기원론 비판: 스티븐 호킹이 "중력 법칙이 우주를 창조했다"고 주장한 것을 비판합니다
. 저자는 중력 법칙(수학 방정식)은 '질서의 결과'이지 '질서의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반박합니다 . 진짜 질문은 "그 중력 법칙(수학)은 어디서 왔는가?"이며 , 그 답은 초월적 수학적 지성을 가진 창조주뿐이라고 주장합니다 .
5장: 창조주의 지성을 공유받은 인간
이 장은 수학뿐만 아니라 인간의 다른 고유한 지성 영역(예술, 음악, 언어) 역시 창조주에게서 공유받은 것임을 설명합니다
미적(예술적) 지성: 인간이 문화권을 초월하여 황금비(황금 직사각형 등)에서 보편적인 아름다움과 안정감을 느끼는 것은
, 창조주가 "보시기에 좋도록" 세상을 창조한 그 미적 지성을 인간이 공유받았기 때문입니다 . 음악적 지성: 사람들이 편안함과 아름다움을 느끼는 음악(클래식, 히트곡)은 대부분 '1/f 패턴'을 보이며, 이는 새소리나 시냇물 소리 같은 자연의 소리 패턴과 일치합니다
. 이는 인간이 자연을 창조한 창조주의 음악적 지성을 공유받았기 때문입니다 . 언어적 지성: 인간만이 고유하게 가진 언어 능력(노암 촘스키의 '보편 문법' 등)
역시 창조주의 언어적 지성을 특별히 공유받은 증거입니다 .
6장: 맺으며
결론적으로 이 책은 수학과 창조 신앙의 관계를 정리하고, 수학 공부에 대한 새로운 동기를 부여합니다
수학과 창조 신앙:
모든 수학(자연 속, 인간 속)은 창조주에게서 유래했습니다
. 수학은 창조주의 우주 만물 설계 언어입니다
. 수학은 만물에 드러난 창조주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롬 1:20)의 구체적인 발현입니다
. 인간의 수학적 능력은 인간이 창조주의 특별한 피조물이라는 증거입니다
.
수학 공부에 대한 창조론적 동기 부여:
저자는 논리력 향상
이나 사회적 성공 같은 일반적인 동기를 넘어선 창조론적 동기를 제시합니다 . 첫째, 수학을 공부하는 것은 창조주의 초월적 신성과 수학적 지성을 마주하는 과정입니다
. 둘째, 수학을 공부하는 것은 창조주가 부여한 "땅을 다스리라"(창 1:28)는 문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 창조 세계의 운행 원리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입니다 .
이 책은 수학이 창조주의 존재를 드러내는 확실한 증거이며
✍️ 『수학에서 발견한 창조주』 서평
『수학에서 발견한 창조주』는 수학이라는 보편적이고 논리적인 도구를 통해 신앙의 핵심인 '창조주'를 증명하려는 기독교 변증서입니다.
책의 목적과 의의
이 책의 저자 박환석은 기독 교사로서 가졌던 "무신론 기반의 진화론에 대한 문제의식"
주요 강점
매혹적인 사례와 명쾌한 논리: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수학의 비합리적 효용성'이라는 난해한 철학적 주제를 피보나치 수열, 황금비, 프랙탈 등 매혹적이고 시각적인 사례들을 통해 매우 쉽게 풀어낸다는 점입니다.
독자는 자연 속에 숨겨진 수학적 질서를 발견하는 지적 희열과 함께, '이 모든 것이 어떻게 우연일 수 있는가?'라는 저자의 핵심 질문에 자연스럽게 동의하게 됩니다. 새로운 동기 부여: 이 책은 입시 도구로만 여겨지던 수학을 '창조주의 설계 언어'
이자 '창조주의 신성을 마주하는 과정' 으로 재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수학 공부를 '땅을 다스리라'는 창세기 1장 28절의 문화명령 을 수행하는 거룩한 행위로 격상시키며, 기독 학생과 성인들에게 수학을 공부해야 할 강력한 신앙적 동기를 제공합니다.
추천 대상
수학 공부에 지쳤거나 목적을 잃은 기독교인 학생 및 청소년
자녀에게 신앙에 기반한 학문적 호기심을 심어주고 싶은 학부모
수업 시간에 창조론적 세계관을 가르치기 원하는 기독 교사 (특히 수학, 과학 교사)
창조과학(Creation Science)
및 지적설계(Intelligent Design) 에 관심 있는 모든 성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