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날 혁명은 왜 불가능한가』 (한병철 저)
철학자 한병철은 이 책에서 현대 신자유주의 사회의 작동 방식을 분석하며, 왜 극심한 불평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혁명이 불가능해졌는지 설명합니다
1. 혁명은 왜 불가능한가: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
과거 마르크스가 비판했던 규율 및 산업 사회는 공장 소유주라는 명확한 '억압자'가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한병철에 따르면, 오늘날의 신자유주의 지배 체제는 억압적이지 않고 '유혹적'입니다
자기 자신을 부리는 경영자: 개인은 더 이상 억압당하는 노동자가 아니라, 스스로를 경영하고 성과를 내야 하는 '경영자'가 됩니다
. 자기 착취: 모든 사람은 '주인인 동시에 노예'입니다
. 타인에 의한 착취는 "나는 할 수 있다"는 긍정성 속에서 '자발적인 자기 착취'로 대체됩니다 . 내면화된 실패: 이 시스템에서 실패하는 사람은 사회를 문제 삼는 대신, 자기 자신을 탓하고 부끄러워합니다
. 계급투쟁은 '자신과의 내적 투쟁'으로 바뀝니다 .
이처럼 '느껴지는 자유'
가 저항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저항해야 할 대상, 즉 억압하는 적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 사람들은 시스템을 바꾸려 하는 대신 우울증에 걸리거나 소진(burnout)되며, 바깥을 향한 공격성(혁명)은 자신을 향한 공격(자살)으로 바뀝니다 .
2. 자본주의와 죽음 충동: '설죽은 삶'의 도래
한병철은 자본주의의 멈출 수 없는 성장 및 생산 강박이 '죽음 충동'과 닮아있다고 분석합니다
자본은 절대적 손실인 '죽음'에 맞서 축적됩니다
. '더 많은 자본은 더 적은 죽음을 뜻한다'는 원시적 믿음이 작동합니다 . 하지만 죽음을 삶에서 철저히 분리하고 부정하려는 이 노력은 역설적으로 '설죽은 삶' (산 죽음)을 낳습니다
. 삶은 생동감을 잃고 '생존'과 '기능'으로 축소됩니다
. 우리는 건강 히스테리에 빠진 '성과 좀비'나 '피트니스 좀비'가 됩니다 . 자본주의는 생명력을 가진 것을 기계적인 것, 죽은 것(데이터, 사물)으로 변환하는 '네크로필리아'(시체애호증) 적 특징을 띱니다
.
3. 디지털 파놉티콘과 투명사회: '같음의 지옥'
신자유주의의 자기 착취는 '디지털 파놉티콘'과 '투명사회'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작동합니다.
자발적 감시: 오늘날의 디지털 파놉티콘은 벤담이나 조지 오웰의 감시국가와 다릅니다
. 우리는 외적 강제 없이 '자유의지로 발가벗으며' 스스로를 전시하고 노출합니다('자기 조명') . 긍정성의 폭력: '투명성'은 민주주의가 아닌 경제적 명령입니다
. 투명사회는 모든 부정성(秘密, 낯섦, 다름)을 제거합니다 . 같음의 지옥: 모든 것이 매끄럽고(매끄러움)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오직 '같음'만이 만연하는 '같음의 지옥' 이 펼쳐집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내면의 '괴로운 공허' 를 느끼며, 이는 '셀피 중독'이나 '자해' 와 같은 병리적 현상으로 이어집니다.
4. 대안으로서의 에로스: 타자의 부활
한병철은 이러한 '같음의 지옥'과 '나르시시스적 자기 관련'
"에로스가 우울을 이긴다"
우울증이 타인이 부재한 채 자기 자신에게 침몰하는 상태라면
『오늘날 혁명은 왜 불가능한가』서평: "우리는 왜 스스로를 착취하며 소진되는가?"
우리는 왜 이렇게 피곤한가? 왜 끝없는 경쟁과 성과 압박 속에서 스스로를 몰아붙이며 '소진(burnout)'되는가?
저자는 오늘날 혁명이 불가능한 이유가 억압이 너무 강해서가 아니라, 역설적이게도 '자유롭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이 사회에서 우리는 모두 "넌 할 수 있어"라는 긍정성의 주문 아래, 스스로를 착취하는 '주인이자 노예'가 됩니다
한병철은 이 시스템이 '디지털 파놉티콘'을 통해 완성된다고 지적합니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성장 강박을 '죽음 충동'
책의 진단은 암울하지만, 한병철은 마지막에 작은 희미한 빛을 제시합니다. 바로 '에로스'입니다
『오늘날 혁명은 왜 불가능한가』는 현대 사회의 병증을 꿰뚫어 보는 압축적이고 예리한 선언문입니다. 읽는 내내 뼈를 때리는 듯 아프지만, 동시에 우리가 발 딛고 선 현실을 직시하게 만듭니다. 끝없는 자기계발과 성과 압박에 지쳐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라고 질문해 본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