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Code

Responsive Advertisement

Ticker

6/recent/ticker-posts

『부모 면허 - 주님이 맡기신 한 영혼을 그분의 뜻대로 빚어가는 삶』(박인경) 리뷰/요약


 『부모 면허 - 주님이 맡기신 한 영혼을 그분의 뜻대로 빚어가는 삶』(박인경)


📚 책 소개: 《부모 면허》

《부모 면허》는 박인경 저자가 쓴 크리스천 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지침서입니다. 이 책은 '학부모' 역할에만 매몰된 현대 부모들에게 '부모 됨'의 진정한 의미를 배우고 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저자는 '부모 면허'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운전 면허처럼 부모 역할에도 성경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역설합니다.

저자 박인경은 크리스천 상담가이자 코치로 , 자신 역시 첫아이를 키우며 어려움을 겪었던 초보 부모였습니다. 그는 세상의 방법이 아닌 성경 말씀과 전문적인 부모 교육을 통해 두 딸을 양육했으며 , 그 경험을 바탕으로 '박인경 코치의 부모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핵심 내용 요약

1. 관점의 전환: '학부모'에서 '부모'로 (1장)

  • 부모 vs. 학부모: 저자는 부모의 역할(부모 됨)과 학생의 부모 역할(학부모)을 구분합니다. '학부모'는 부모의 여러 역할 중 극히 일부일 뿐인데도, 많은 부모가 자신을 '학부모'로만 인식합니다.

  • 위험한 관점: '학부모'의 관점은 자녀의 단점과 약점에 집중하게 만듭니다. 이는 부모 내면의 염려와 두려움에서 비롯되며 , 자녀를 있는 그대로 보기 어렵게 만듭니다.

  • 하나님의 관점:

    • 부모: 부모는 하나님께 자녀를 맡은 '청지기'이자 , '영적 리더'입니다. 부모의 가장 근본적인 역할은 하나님의 도(道)를 자녀에게 가르쳐 지키게 하는 것입니다.

    • 자녀: 자녀는 하나님의 선물이며 , 태어나기도 전에 하나님의 사명을 받은 존재입니다. 자녀는 '보배가 담긴 질그릇'과 같습니다.

  • 양육의 우선순위: 저자는 자녀 양육에도 우선순위가 있다고 말합니다. 가장 큰 돌(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 인생, 관계' 즉 행복의 의미를 가르치는 것이며 , 그다음은 '부모의 모범' , 마지막이 '학습력과 기술'입니다.

2. 자녀는 부모가 '얻어야 할' 한 영혼이다 (2장)

  • 이 책은 자녀를 '부모가 얻어야 할 한 영혼'이라고 정의합니다. 믿는 부모의 자녀로 태어났다고 해서 저절로 구원받는 것이 아니며 , 부모가 자녀의 마음을 얻어 그곳에 복음을 심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 마음의 힘: 자녀의 마음(감정, 생각, 기억)은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됩니다. 부모는 자녀의 마음을 상하게 한 상태(노엽게 한 상태)에서 주의 교훈을 가르치려 해서는 안 되며 , 먼저 자녀의 마음을 돌봐야 합니다.

  • 통제 대신 선택: 부모가 자녀를 통제(지시, 강요)하려 할수록 자녀는 불행을 느낍니다. 부모는 자녀를 통제하는 대신,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좋은 행동'을 스스로 선택해야 합니다.

  • 복음의 다리: 부모는 복음이 자녀에게 건너가는 '다리'입니다. 부모와의 따뜻하고 좋은 관계는 자녀가 하나님 아버지를 만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부모 면허 1: 관계와 소통의 기술 (3장, 5장)

저자는 부모가 '상담가적 부모'와 '코치형 부모'가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 상담가적 부모 (치유): 부모는 자신의 상처를 먼저 치유해야 합니다. 부모의 치유되지 않은 상처는 사랑과 함께 자녀에게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부모가 먼저 치유될 때 자녀를 치유할 수 있는 '치유받은 치유자'가 됩니다.

  • 코치형 부모 (성장): 코치형 부모는 자녀의 잠재력을 믿고 , 해답이 자녀 내면에 있다고 믿으며 , 수평적 파트너십으로 돕는 역할입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말하기보다 듣는 것(8:2 비율)이 중요합니다.

[P.E.T. 기반 소통 기술 (5장)] 이 책은 토머스 고든의 '효과적인 부모 역할 훈련'(P.E.T.)을 핵심 기술로 제시합니다.

  1. 문제 소유 가리기: 대화 전, '지금 누구의 감정이 힘든가?'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자녀가 문제 소유 시 (자녀가 속상할 때): 부모는 '들을 차례'

    • 하지 말 것: '의사소통의 걸림돌' (명령, 경고, 훈계, 비판, 조언 등 14가지)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 해야 할 것: 반영적 경청 (Reflective Listening). 자녀의 감정을 추측하여 부모의 언어로 되돌려 말해주는 것입니다. (예: "미안해" 대신 "많이 속상했지?" )

  3. 부모가 문제 소유 시 (부모가 속상할 때): 부모는 '말할 차례'

    • 해야 할 것: 나 전달법 (I-Message). 이는 '알림 서비스' 이며, ①비난 없는 행동 서술, ②나(부모)에게 미치는 구체적 영향, ③나(부모)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4. 문제없는 영역 (모두 편안할 때):

    • 이때 일대일 데이트나 즐거운 대화를 '저축'해야 합니다.

    • **긍정적 나 전달법 (감사 표현)**을 사용합니다. (예: "네가 설거지를 해주니까 / 엄마가 일찍 쉴 수 있어서 / 고맙고 행복해" )

4. 부모 면허 2: 말씀 묵상의 기술 (6장)

크리스천 부모는 '말씀 묵상의 면허'를 취득해야 합니다.

  • 말씀의 기관차: 우리의 삶은 감정이나 상황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이 이끄는 기관차가 되어야 합니다.

  • 부모의 묵상법: 저자는 하나님 중심의 묵상법을 제시합니다.

    1. 기도하기

    2. 본문 읽기

    3.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 '내게 주시는 말씀은 무엇인가?' 기록하기

    4. 말씀을 기억하기 위한 짧은 '제목' 정하기

    5. 말씀을 붙잡고 기도하기

    6. 종일 기억하기

    7. 받은 은혜 나누기

  • 자녀 묵상법: 영아부(그림 성경 읽어주기) , 유치부(대화하며 읽기) , 초등부(ABC 방법) 등 연령별 묵상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 가정예배: 이 책이 지향하는 최고의 예배는 '말씀 묵상을 나누는 가정예배'입니다. 가족이 각자 묵상한 은혜를 나눌 때, 가정은 강력한 '영적 공동체'가 됩니다.

📜 결론

저자는 부모가 '하나님의 사람을 남기는 자'로서의 사명을 다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자녀에게 복음의 바통을 넘겨주기 위해 , 부모는 자신의 권리(슬퍼할 권리, 아파할 권리 등)를 내려놓고 '그리스도의 복음에 장애가 없게' 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도전합니다.


🖋️ 《부모 면허》 서평: "당신은 '학부모'입니까, '부모'입니까?"

"나는 과연 '부모 면허'를 가진 부모일까?" 박인경 저자의 《부모 면허》는 책을 읽는 내내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만드는 강력한 책이다. 우리는 자녀를 사랑한다는 명분 아래, 실상은 자녀의 성적과 성공에만 몰두하는 '학부모'로 살고 있지는 않은가. 이 책은 그런 우리에게 '무면허 운전'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부모 됨의 본질을 회복하라고 촉구한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뜬구름 잡는 신앙 교육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저자는 목회자의 아내이자 상담가로서 겪은 수많은 사례와 자신의 처절했던 양육 경험을 솔직하게 녹여낸다. 그리고 '하나님의 관점'이라는 신앙적 대원칙 위에서, 'P.E.T.'라는 매우 구체적이고 검증된 심리학적 도구를 접목한다.

특히 5장 '관계와 소통의 부모 면허'는 이 책의 백미다. 자녀가 문제를 일으킬 때(문제 소유), 부모가 훈계나 조언, 비난(의사소통의 걸림돌) 대신 "속상했지"라고 감정을 읽어주는 '반영적 경청' 을 실천하라는 조언은, 많은 부모가 머리를 한 대 맞은 듯한 충격과 깨달음을 준다. 또한 부모가 화가 났을 때 "너 때문에!"라고 비난하는 대신, 자신의 상태를 정중하게 알리는 '나 전달법' 은 당장 가정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강력한 소통의 무기다.

결국 이 책은 부모가 먼저 '치유받은 치유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부모의 상처가 자녀에게 대물림되는 고리를 끊고, 부모가 먼저 '코치형 부모', '상담가적 부모'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 면허》는 자녀를 어떻게 키워야 할지 몰라 쩔쩔매는 이 땅의 모든 부모 , 특히 신앙과 양육 사이에서 괴리감을 느끼는 크리스천 부모들에게 '자녀 교육의 교과서' 라 불릴 만한 탁월한 안내서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학부모'의 불안을 내려놓고, 자녀를 하나님의 사람으로 세우는 '위대한 부모' 로 거듭나는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을 것이다.